[HK3.0] 2025년 <한국문학 코멘터리 총서> 공동연구 신청(공모) 안내
▣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 <문명전환기 K인문학의 미래적 전회> HK3.0 컨소시엄 사업단에서는, 문명전환기 한국문학의 정체성과 대안적 정전으로서의 가능성을 탐구하기 위해 <한국문학 코멘터리 총서> 공동연구 지원 사업을 진행합니다. 한국문학의 새로운 다양성과 의미를 만들어가고자 하는 연구자분들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대안적 정전을 만들어 가고자 합니다.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.
※ 상세한 내용은 첨부하는 01_[HK3.0]한국문학코멘터리총서_공동연구_신청요강(2005) 파일(PDF)을 반드시 참조해 주세요.
◎ 사업 소개 및 목적
1) 한국문학의 대안적 정전의 가능성 모색, 새로운 보편성 및 정체성 탐구
2) 학문후속세대 및 신진연구자의 연구 성과를 사회화ㆍ대중화할 수 있는 경로 마련
3) 한국문학을 현대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교양총서, 즉 저작권이 소멸되었거나 해결된 텍스트를 대상으로 삼아, 주제와 키워드를 선정하여 현대적으로 재구성하고, 창의적 코멘터리(주석ㆍ해설 등)를 집필한 교양총서 간행을 지원
4) 다양한 연구자들과의 공동 연구를 통한 K인문학의 새로운 방향성 및 지향점 모색
◎ 지원 대상
1) 지원 분야: 한국문학
2) 지원 자격: 박사학위 소지자
3) 지원 형태: 개인 지원 원칙
4) 지원 과제: 2~3과제
◎ 접수 및 심사 일정 기간
1) 모집 기간: 2025년 11월 5일(수) 9시 ~ 2025년 11월 30일(일) 17시
2) 제출 서류: 2025년 한국문학 코멘터리 총서 지원사업 신청서(첨부파일 참조) 1부
박사학위증명서 1부
3) 접수 방법: 이메일 접수 icklc@korea.ac.kr
4) 심사 및 선정: 2025년 12월 1일 ~ 2025년 12월 17일
5) 선정 결과 발표: 2025년 12월 17일 예정
①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 홈페이지(https://icklc.korea.ac.kr/)에 공고
② 선정자에게 개별 통보
6) 제출 서류에 사실과 위배되는 내용이 있을 경우 선정을 취소할 수 있음.
7) 문의 icklc@korea.ac.kr H.P. 010-2843-1298
◎ 연구 기간, 연구비, 분량, 연구물 제출 조건
1) 연구 기간: 2026년 1월 1일 ~ 2026년 12월 31일(1년)
2) 연구비: 500만원
3) 연구 성과물: 연구 기간 종료까지 제출
① 200자 원고지 500~900매 분량으로 편성.
② 교양서 단행본 출판에 적합한 내용과 체제로 편성: 저자 서문, 목차, 본문, 코멘터리 참고문헌, 색인 등 포함
③ 연구자는 반드시 저작권 소멸 및 해결 유무를 확인하고, 저작권이 소멸되었거나 해결된 텍스트를 선정하여 단행본 출간을 위한 원고 편성.
④ 교양서 성격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표기함.
a. 원문이 국문일 경우: 원문을 최대한 살리되, 철자법과 띄어쓰기는 현대 표기법에 따라 고침.
b. 원문이 한문일 경우: 번역하여 현대 한국어 표기법으로 기재함.
c. 본문은 한글 표기를 원칙으로 하고 필요한 한자는 ( )속에 병기함. 현재 잘 쓰지 않는 단어나 한자어의 경우 [ ]를 덧붙여 현대 한국어 및 한글로 순화함.
예) 경희는 고개를 칙으린다.[수그린다.]
양심은 스스로 자복(自服)하였다.[자백하고 복종하였다.]
⑤ 단행본의 주제, 텍스트의 선정과 편성, 코멘터리 작성 등은 연구자의 참신하고 다양한 기획ㆍ편성ㆍ형식 환영
⑥ 이해를 돕기 위한 <한국문학 코멘터리 총서> 사례 및 코멘터리 형식에 관한 사례
a. 한국문학의 대안적 정전을 새롭게 구성할 수 있는 다양한 주제들: 장애, 사랑, 죽음, 노동, 생태, 여성, 젠더, 사상, 위기, 이동, 연결, 번역, 비인간, 연애, 유토피아, 미래, 과학, 기술, 공감, 정동 등등
b. 코멘터리 형식은 전통적인 서술형 해설, 여러 사람의 좌담 형태의 해설, 편성한 텍스트를 오늘날의 시선으로 다시 쓰기 형식의 해설 등 연구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식이 가능함.
c. 한국문학 연구자의 출판기획이 더해진 도전적ㆍ창의적 기획과 형식.
4) 결과보고서: 연구 기간 종료까지 제출(결과보고서 형식은 선정 후 안내)
◎ 연구비 지원 방법 및 의무 사항
1) 연구비는 연구결과물(단행본 원고)과 결과보고서 제출한 뒤, 단행본 발간 심사 통과 후 지급함.
2) 연구결과물 제출 후 단행본 발간 심사를 통해 수정ㆍ보완 요청이 이루어질 수 있음(단행본 심사를 통과하지 못할 경우 출간이 중단될 수 있음).
3) 선정된 연구자는, HK3.0사업단에서 주최하는 <한국문학 코멘터리 총서> 관련 세미나/워크숍 및 강좌 프로그램 등에서 1회 이상 발표 의무. 사업단 내 같은 작업 수행팀과 토론 및 소통 필수.
4) HK3.0 사업단에서는 출판사 섭외, 출판 후 홍보 등 집필된 원고를 출판하는 과정을 지원함. 현재로서는 ‘국가연구개발혁신법’에 의거해 비매품(ISBN 등록)으로 출판될 예정임(단 출판 형식 변경 시, 선정자에게 연락하여 동의를 구할 예정)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