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어문화연구소

QUICK MENU
  • 사이트맵
  • 고려대학교

K-MOOC 강좌

개설 강좌 목록

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센터(OCKS) 

 

 

1차년도 - 대주제 <인물>
 
  대상 수준 강좌명 담당교수
1 범용성 중급 판소리 명인·명창 송미경
2 초급 조선의 문장가 열전 송혁기
3 중급 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이영제
4 중급 조선의 서화가 류승민
5 중급 한국 근현대문학 작가열전 기획강좌
6 고급 한국 여배우 열전 김남석
7 고급 한국 현대 페미니즘 여성 시인들 오형엽
8 지역
맞춤형
고급 한시를 영화로 읽기: 시인과 이미지 임준철
9 초급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영어 대조 분석 장미경
10 고급 한국의 문자 발명가와 표기의 역사 장경준

 

2차년도 - 대주제 <시공간>
 
  대상 수준 강좌명 담당교수
1 범용성 초급 한국 현대사(史)와 현대시(詩) 기획강좌
2 범용성 중급 한국 현대소설의 시공간 권보드래
고지혜
최은혜
3 범용성 초급 서울의 역사와 문화 공간 기획강좌
4 지역
맞춤형
초급 한국 고전소설 이야기 속 세상 엄태웅
5 지역
맞춤형
중급 한국의 누정과 누정문화 안세현
안득용
백진우
6 범용성 중급 한국 역사소설의 과거와 현재 공임순
김미란
7 범용성 초급 한국어의 방언 기획강좌
8 지역
맞춤형
초급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중국어 대조 분석 장미정
진환상
9 범용성 고급

한국어의 역사

허인영
장경준
10 지역
맞춤형
중급 한국 한시 기행 기획강좌

 

3차년도 - 대주제 <안과 밖: 접경>
 
  대상 수준 강좌명 담당교수
1 범용성 고급

디지털 시대의 한국문학과 세계문학

양윤의

김남규

최호빈

2 범용성 중급

한국 현대시의 트랜스 로컬리티

강은진
3 범용성 중급

한국학 전공을 위한 심화 한국어

박영지

김민경

4 범용성 중급

한국어 교육자를 위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수법

김정숙

이선영

5 지역
맞춤형
초급

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일본어 대조 분석

타이라 카오리

김아란

홍명옥

6 지역
맞춤형
초급

동아시아 문화 원형과 콘텐츠

엄태웅

신호림

이승은

김여주

7 지역
맞춤형
중급

한국문학과 동아시아 문학

최귀묵

최빛나라

강혜진

김여주

8 범용성 중급

한국학 전공자를 위한 사전 활용법

도원영
9 지역
맞춤형
고급

조선 지식인의 해외 교류와 세계인식

임유의

장진엽

김영죽

최빛나라

10 지역
맞춤형
초급

동아시아의 한자문화

양원석

임유의

나락연

송호빈

 

 

4차년도 - 대주제 <맛과 멋>
 
  대상 수준 강좌명 담당교수
1 범용성 초급

K-pop 노랫말의 감성 구조

김종훈

2 범용성 초급

한국문학 속의 음식 미학

이현승

남승원

박순원

강은진

3 범용성 고급

한국어 교육자를 위한 한국어 문법교육론

김정숙

이경

4 범용성 초급

한국어 교육자를 위한 과제 구성법: 언어기능편

김지혜

류선숙

5 범용성 중급

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학 개론

박아름

강민석

6 범용성 중급

한국고전시가와 사람살이의 풍경들

이형대

7 범용성 초급

한국의 현대건축

김현섭

8 지역
맞춤형
중급

한국 전통연희의 미학

정제호

신호림

9 범용성 중급

전쟁과 평화: 한국의 음식문화

김경록

10 지역
맞춤형
초급

중한/한중 번역의 이론과 실제

양뢰

김보경

 

5차년도 - 대주제 <소통과 치유>
 
  대상 수준 강의언어 강좌명
1 범용성 중급 영어 현대 한국의 트라우마와 치유
2 중급 한국어 일제강점기 한국 근대 소설
3 중급 한국어 자만시와 자찬, 자기 성찰의 글쓰기
4 중급 한국어 한국 드라마의 사회사
5 고급 한국어 한국의 무속적 세계관
6 고급 한국어 선인들의 일상과 내면, 한글 편지와 일기
7 고급 한국어 한국어 교육자를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
8 고급 한국어 한국어 교육자를 위한 한국어 능력 평가의 이해와 실제
9 지역
맞춤형
초급 한국어 소통과 치유의 한의학
10 초급 베트남어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베트남어 대조 분석

 

 

강좌 제작 방향

- 연차별 대주제를 중심으로 하되, 해외 수요조사에서 수요가 높은 한국어교육 및 한국어-외국어 대조 분석, 교육자를 위한 특화 강좌를 추가 구성함

- 범용성 강좌와 지역맞춤형 강좌, 수준별 강좌, 어문문화 이외 분야 강좌, 외국어 강의 강좌의 비율을 적절히 안배함

- 수강생 설문조사, 해외 연구진 의견 수렴, 해외 수요 조사 등을 반영하여 강좌의 비율을 조정함